'아리스토텔레스'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2.08.07 독사(doxa)라는 말에 관한 오남용
  2. 2012.08.04 <장소 운동 능력>을 통한 신 존재 증명 3
단상 속에서2012. 8. 7. 08:50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독사(δοξα)라는 말은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와서 <영광>이라는 말로서 그것이 단지 어떤 빛이라는 뉘앙스 견지에서만 즐겨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말은 본래 전혀 의미도 생소한, <의견>이라는 뜻으로부터 출발된다. 고대 희랍인들이 동물학을 논하면서 “동물들은 <의견>이 없다”라고 말할 때 이 단어를 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물들에게는 의견이 정말 없을까? 강아지나 고양이 앞에 생선과 개사료를 놔두면 무엇을 택할까? 당연히 생선을 택할 것이 아닌가? 그래도 의견이 없는 것인가? 여기서 말하는 <의견>은 그런 것이 아니다. 일종의 추론으로부터 나온 상상력을 말한다. 감각에 준거한 즉각적인 택일을 하는 식의 그런 선택으로서 의견이 아니라, 스스로 계산하거나 추론하고 상상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의견을 말한다.

그래서 고대의 희랍인들은 이 독사라는 어휘 속 사고능력을 생각할 때, 사고 그 자체, 그 사고 자신이 추론하고 상상하는 것이라고 믿었던 것같다.

다시 말하면 “모든 동물들이 <의견>( δοξα)을 갖는 것은 아니다”라는 정의에 대한 그 근거를 피력할 때,

동물들은 추론으로부터 나온 상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반면 추론은 상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De Anima>

라고 해제를 내리고 있는 것은 그와 같은 독사(δοξα)의 구별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말하는 “...반면에 추론은 상상을 필요로 한다”는 말은 무엇인가? 어떻게 “동물”과 “추론”이 댓구가 될 수 있는가? 전자는 생물이고 후자는 생물이 아닌데? 바로 그것이다. 그것은 정신으로서 <독사> 그 자신이 그렇게 추론하고 상상을 하면서 <의견>을 개진한다는 말이 아니겠는가? 신체의 구속을 벗어나는 정신의 단위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것은 일종의 육체의 감각 추구와 합목된 그런 <의견>과는 완전하게 분리된 추론능력으로서 <의견>을 말하며 곧, 그 스스로 추론하고 상상하여 견해를 내리는 판단 양식으로서 <의견>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심판>의 양식인 셈이다.

즉 다시 말해서 <영광>에서 뉘앙스 짓는 그 빛은 어디에서 비롯된 빛의 기운인가 라고 그 출처를 따져볼 때에 그것은 전적으로 <심판>으로서 <의견>에서 도출되는 빛의 형식이라는 사실이다. 우리가 상상하는 - 인기인이 받는 따위의 - 그런 빛의 형식과는 판이한 것이다. 이것이 독사의 기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므로 우리 현대적 그리스도인은 <심판>을 전혀 두려워하지도 않지만 전혀 달가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영광>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위선적 관념 속에 이 독사에 대한 오남용의 일면이 있다.

'단상 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생에 대한 넌센스  (0) 2012.08.16
오늘날의 면죄부(Indulgence) 형식  (1) 2012.08.08
복음의 텔로스  (1) 2012.07.26
설교가 지닌 한계  (0) 2012.07.19
참 목자상  (0) 2012.06.11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
상상 속에서2012. 8. 4. 08:14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토마스 아퀴나스의 <5가지 신 존재 증명>에 대해 발끈하는 내가 만났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교롭게도 이공 계열이었다. 왜들 발끈하는지 이학적 반론은 들어도 잘 기억에 남지도 않지만 그들에게서 발견된 공통점은 하나같이 아퀴나스 증명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퀴나스 증명은 다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사실 나머지 네 증명은 모두 첫 번째 증명이 지닌 논리에 귀속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에 첫 번째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하겠다. 첫 증명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으로부터 증명,” 움직이는 사물(유동자)을 인식할 때 우린 그것이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안다. 모든 유동자는 그 자신 아닌 다른 무엇인가에 의해 움직이는데, 그 자신은 움직이지 않으면서 다른 것들을 운동시키는 그 무엇인가가(부동의 동자) 있을 것이다. 바로 그 부동의 동자(不動 動者) 즉, 원동자가 바로 신이다.
결국 운동하는 것들의 존재를 통해 운동하지 않을 법한 그 유일한 존재를 논증한 문장이다. 구시대 논증일 수밖에 없고 귀납 논리에 치중된 면도 크지만 아퀴나스가 이 아이디어를 뽑은 원안이 지닌 진술의 방식, 곧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들이 언제나 그렇듯 풍자적 과학 논술에 상당한 것쯤으로 봄이 유익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리스토텔레스 저술에서 발견할 수 있는 부동의 동자는 두 곳일 것같다. 그는 동물이 대체로 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운동의 3요소를 정리한다. (1) 운동을 유발하는 원동자가 있어야 할 것이고, 다음은 (2) 운동의 수단, 그리고 (3) 피운동자(운동을 시키는 존재)이다.

아퀴나스가 힌트를 얻은 부분은 우선 (3)항 즉 ‘피운동자’라는 대목에서 <최종적 피운동자>을 유추함으로써 아마 신 존재와 연결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부동 동자”의 존재를 밝힐 수 있는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정한 풍자 대목은 바로 (1)항에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는 (1)항의 “운동을 유발하는 원동자”를 두 개로 분할하고 있다. 그들은 각각 <움직여지지 않는 자>와 <움직이며 움직여지는 자>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부동자”의 개념이 서술되고 있는 것이다.

무엇이 우리네 같은 동물을 움직이게 하는가? 우리를 움직이게 만드는 원동자의 일단은 바로 <욕구능력>이다. 먹잇감의 냄새를 맡은 동물은 그 먹잇감을 향해 장소를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욕구능력>이라고 하는 것은 “희망”과 “욕망”으로 나뉜다. 양자 모두 계산능력인 동시에 추론능력이다. 그러나 지성은 추론적 사고가 아무리 명령을 해도 움직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양자를 가른다. “희망”은 지성이지만 “욕망”은 지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움직여지지 않는 자>의 실체이다.

신체에 관한 풍자로 하나를 더 들어보면 무릎의 경첩관절이 움직일 때 볼록 면은 정지되어 있고 오목 면이 움직인다. 이것이 운동이라 부를 수 있는 그 움직임의 끝과 시작이다. 한 부분은 반드시 정지해 있어야 운동이 시작된다.

이학/과학자들은 말 할 것이다. 부동자의 존재는 틀렸다. 저절로 움직이는 것이 물리학적으로 얼마든지 존재/규명된다. 그러나 이 풍자는 그런 뜻이 아니다.

이른바 운동이라 함의 전제는, 관절의 예에서 그랬듯이 <움직이는 존재>와 <움직이지 않는 존재>가 반드시 함께 존재해야 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일종의 ‘테제’로서 풍자인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제 아무리 스스로 운동을 시작했고 영원히 스스로 운동을 하고 있는 존재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운동>일 수 없는 것은, 정지된 그 어떤 대상이 있어야만 <운동>이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아니한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 자신이 무중력/진공 상태에서 어디론가 계속 날아간다고 했을 때, 그것은 물리학적 운동일지는 몰라도 아퀴나스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운동은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바로 텔로스가 있는 운동과 텔로스가 없는 운동의 차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이 풍자적 진술에 더하여 지극히 과학적 표현 하나를 덧붙여 말한다.

“희망은 미래를 볼 수 있지만, 욕망은 미래를 보지 못한다. 그러나 둘 다 욕구다.”

여기에서 짐승과 인간의 분류도 갈라지는 것이다. 그러나 둘 다 동물이다.  

그러면 끝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최고의 절대 지성은 누구인가? 예수 아니었던가?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는 욕망으로 알아지는 것이 아니라 지성 - 곧 희망이나 소망 - 으로 알아지는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