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 속에서2012. 8. 7. 08:50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독사(δοξα)라는 말은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와서 <영광>이라는 말로서 그것이 단지 어떤 빛이라는 뉘앙스 견지에서만 즐겨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말은 본래 전혀 의미도 생소한, <의견>이라는 뜻으로부터 출발된다. 고대 희랍인들이 동물학을 논하면서 “동물들은 <의견>이 없다”라고 말할 때 이 단어를 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물들에게는 의견이 정말 없을까? 강아지나 고양이 앞에 생선과 개사료를 놔두면 무엇을 택할까? 당연히 생선을 택할 것이 아닌가? 그래도 의견이 없는 것인가? 여기서 말하는 <의견>은 그런 것이 아니다. 일종의 추론으로부터 나온 상상력을 말한다. 감각에 준거한 즉각적인 택일을 하는 식의 그런 선택으로서 의견이 아니라, 스스로 계산하거나 추론하고 상상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의견을 말한다.

그래서 고대의 희랍인들은 이 독사라는 어휘 속 사고능력을 생각할 때, 사고 그 자체, 그 사고 자신이 추론하고 상상하는 것이라고 믿었던 것같다.

다시 말하면 “모든 동물들이 <의견>( δοξα)을 갖는 것은 아니다”라는 정의에 대한 그 근거를 피력할 때,

동물들은 추론으로부터 나온 상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반면 추론은 상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De Anima>

라고 해제를 내리고 있는 것은 그와 같은 독사(δοξα)의 구별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말하는 “...반면에 추론은 상상을 필요로 한다”는 말은 무엇인가? 어떻게 “동물”과 “추론”이 댓구가 될 수 있는가? 전자는 생물이고 후자는 생물이 아닌데? 바로 그것이다. 그것은 정신으로서 <독사> 그 자신이 그렇게 추론하고 상상을 하면서 <의견>을 개진한다는 말이 아니겠는가? 신체의 구속을 벗어나는 정신의 단위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것은 일종의 육체의 감각 추구와 합목된 그런 <의견>과는 완전하게 분리된 추론능력으로서 <의견>을 말하며 곧, 그 스스로 추론하고 상상하여 견해를 내리는 판단 양식으로서 <의견>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심판>의 양식인 셈이다.

즉 다시 말해서 <영광>에서 뉘앙스 짓는 그 빛은 어디에서 비롯된 빛의 기운인가 라고 그 출처를 따져볼 때에 그것은 전적으로 <심판>으로서 <의견>에서 도출되는 빛의 형식이라는 사실이다. 우리가 상상하는 - 인기인이 받는 따위의 - 그런 빛의 형식과는 판이한 것이다. 이것이 독사의 기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므로 우리 현대적 그리스도인은 <심판>을 전혀 두려워하지도 않지만 전혀 달가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영광>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위선적 관념 속에 이 독사에 대한 오남용의 일면이 있다.

'단상 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생에 대한 넌센스  (0) 2012.08.16
오늘날의 면죄부(Indulgence) 형식  (1) 2012.08.08
복음의 텔로스  (1) 2012.07.26
설교가 지닌 한계  (0) 2012.07.19
참 목자상  (0) 2012.06.11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