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 속에서2012. 8. 30. 01:41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치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나타나나니”(롬 1:18)

라는 말은 하나님과 우리 관계를 나타내는 특유의 속성이지 다른 말이 아니다. 그것은 부활의 이쪽 편을 나타내는 특질이다.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관계는 불의하다. 

우리는 우리가 하나님이라고 부를 때, 우리가 말하는 것들을 잘 알고 있다고 추측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분에게 세상 가장 높은 지위를 부여한다. 그것은 우리 자신과 우리 일을 그분과 동일선상에 근본적으로 올려놓았다 함으로써 그리된다. 

우리는 그분이 뭔가 필요할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이다. 그리고는 우린 뭔가 다른 어떤 관계를 조율함으로써 그분과 우리의 관계도 조율하는 게 가능하다고 그렇게 추정한다. 

이것이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에 나타난 불의다.

비밀스럽게도 우리는 하나님과 우리 관계 속에서 우리 자신을 주님으로 배당한다.

주관자라고는 부르지만, 우리는 하나님 그분 스스로가 주관할 줄 아시는 하나님으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리 자신의 요구만 관철시키는 신자인 것이다. 불신자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의 오만이 그것을 설계했다. 어떤 초월적인 세계, 우리가 아주 잘 알고 있고 또 접근하기에 용이한 하나님의 나라?

다시 말해서, <초월적 세계>라고 이름 붙여진 그 저의 속에 우리가 쉽사리 담 넘어 들어갈 수 있는 설계의 교란이 있는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
단상 속에서2012. 8. 28. 06:12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칼 바르트가 말하는 로마서 주제:

“스스로가 두려워할 줄 알고 희망 걸 줄 앎으로 그 스스로 심판대 아래 엎드리는 자를 구원할 다른 의(義)는 없다. 그는 살 것이다. 그는 이생의 헛됨을 깨닫고 있기에, 썩어가는 가운데 썩지 않을 것에 대한 기대 없이는 결코 가망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있기에, 참된 삶의 기대 없이는 결코 가망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기에, 그는 바로 그 참된 삶의 기대를 가지는 것이다. 그 위대한 가능성이 그에게 그 모든 하찮은 가능성의 끝과 목적을 일러주는 것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한결같음이라고 말하든지 사람의 믿음이라고 말하든지 그 둘은 같은 것이다. 예언자의 언어들은 이미 이 쌍방향 포인트를 지적해왔다. 즉, 예언자들의 “No”라는 말들 속에서 도망칠 수 없이 우리가 직면하게 되는 하나님의 한결같으심이다. 하나님 거룩한 그분 한분, 곧 그 모든 나머지인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만나게 되는, 그 “No”를 단정하는 이들의 경외심과 또 그 부정 속에서의 공허함(void), 꿈틀거림(move), 지체됨(tarry)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자들의 경외감 안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의 믿음”이다. 하나님의 한결같으심(faithfulness)과 사람들의 충실함(fidelity)이 부딪히는 - 부정적 의미의 부딪힘 - 그곳에 그분의 의(義)가 나타나 있다. 그곳이 의인이 사는 곳이다. 이것이 바로 로마서의 주제이다.”

이것은 로마서 1:17에 있는 하박국 2:4, “의인은 믿음으로 살 것이다”(합 2:4)를 칼 바르트가 주석 한 것입니다.

이 문단을 번역하다 보면, 우리가 배워온 칭의론과 많이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칼 바르트의 구원론을 오해들을 해서 각자 따다 붙여 쓰는 것같지만서도-,

우리가 배워온 칭의와 다른 점은 이미 (구원 받을) 그 사람은 준비된 자이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심판대 아래 스스로 세팅해 설 줄 알아야 하고, 부패 속에서 썩지 않으려고 하고...etc..., 그런 기대감으로 이미 상당한 준비가 되어 있는 자여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오직 예수 이름으로 무조건, 완전 무조건, 구원 받는 교리와 차이를 보이죠? 그러나 칼 바르트의 이 주석은 그런 칭의에 반하는 주석이 아닙니다.

의가 (1) “있다”도 아니고, (2) “나타났다”도 아니고, (3) “나타나,” “있다”는 것입니다. 

(1)은 원래부터 완성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2)는 난데없이 갑자기 나타난 걸 말하고, (3)은 원래부터 있던 것이 비로소 드러나게 되는 것을 말하는데, 바르트의 주장은 (3)항에 해당해 보입니다. 

칼 바르트는 말합니다. 예언자들이 줄기차게 외쳐대는 “No”라는 언어 속에 하나님의 미쁘심, 한결같으심, 충실하심이 있다. ‘이것이 <믿음의 기원>이다.’ 예수님께서 계시는 지점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God the Holy One, the altogether Other.” 라는 댓구를 “하나님 거룩한 그분 한분, 곧 그 모든 나머지인 것이다.”라고 밖에 번역할 수 없었는데, 이 알아듣기 어려운 댓구는, 결국,

 “하나님의 모든 <No>라는 응답은 사실상 단 한 개의 <Yes>인 것이며, 또한 그 모든 <Yes>라는 응답 속에는 <No>라는 단 한 개의 하나님 응답이 들어 있다”

라는 파라독스 속에서 이해될 수 있겠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