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 속에서2013. 4. 21. 17:30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프롤로그 | 미로와 사이렌.


미로(迷路)란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 아주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는 길을 말한다. 방향성을 알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혀 출구로 향하는 갈림길이 없이 닫힌 길들의 연결을 미궁(迷宮)이라고도 부른다. 장소 이동을 하는 동물이 길을 찾지 못할 때는 그 길이 다르기 때문이 아니라 주로 유사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목적지에 이를 때까지 불안과 압박을 받는 이유도 그 유사한 공간 형식이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신화에서는 미노타우르스라는 괴물 아들을 얻은 크레타 크노소스의 미노스 왕이 그를 가둬놓으려고 미로를 만들었다. 그 길을 영원히 찾을 수 없도록 설계 도면까지 태웠다. 호머의 오디세우스는 그의 삶과 모험 자체가 미로다. 종착지는 집으로 돌아오는 것인데 쉽사리 집에 돌아갈 수 없는 미로다. 미노타우르스의 미궁으로 잡입했던 테세우스는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가 건네준 실뭉치를 풀며 들어갔다가 그 실을 따라 다시 나올 수 있었다. 오디세우스는 사이렌이라는 미궁에 직면해서는 부하들의 귀를 밀납으로 막고 자신의 몸은 돛에 묶음으로써 그곳을 빠져나온다. 실타래를 풀었다 다시 따라나가는 방식에서는 자기가 왔던 길로 되돌아감으로써 유사함을 갈라내는 일관성을 본다. 귀를 밀납으로 막은 오디세우스의 부하들은 당시 자기들 마음과 유사했던 “내 노래를 들으면 너를 고향으로 데려다 주겠다”는 사이렌 소리를 듣지 않음으로써 일관성을 보존했다. 그런데 오디세우는 왜 귀를 막지 않은 것일까? 부하들은 귀를 막게 하고 자기는 왜 귀는 열어둔채 몸만 묶은 것일까?



프린서플 | 미로를 빠져나오는 방법.


일찍이 플라톤은 사람처럼 이성을 가진 동물은 밖을 향해 나아가는 방향성이 있고 그보다 열등한 동물들은 안을 향하는 성질이 있다고 했습니다. 반면 근·현대를 살던 종교학자 엘리아대는 사람이 지향점을 안쪽에 두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어쨌든 양자는 어딘가를 향하여 있다는 점에서 같습니다. 정지되어 있지 않고 어딘가를 향해있다는 이 사실이 우리로 하여금 불안하게도 하고 압박을 가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어딘지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성경과 성령을 지도로 주셨습니다. 부활 이후(post Resurrection)를 내용으로 담고 있는 누가의 행전은 그 방향성을 이렇게 놓고 있습니다.


밖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성령께서 임하시면서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방언을 말하게 되는 과정에 타향 각처에서 와있던 사람들이 동시에 그 소리를 듣게되는 역사가 일어났습니다. 베드로가 밖에 나가 설교하게 됩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중적 코이노니아로 더 많은 사람을 흡수하고 일곱을 위시한 차세대 지도자를 세웁니다. 그 중의 하나인 스데반이 순교를 하긴 했지만 그 여파로 그리스도인들이 각지로 퍼져나가는 결과가 도래합니다. 율법적 전통에 뛰어나고 국제 감각을 가진 바울도 영입되는 결실이 있었습니다.  


안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사도들은 예루살렘을 거점으로 어려운 투쟁을 하고 있었습니다. 율법주의 유대인들은 여전히 핍박을 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는 같은 입장 안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들이 출현하면서 그 구심축을 지키기에 여념 없었습니다. 아예 유대교 전통을 모조리 무시하자는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유대교 전통은 고스란히 유지하면서 추가로 (부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자고 하는 사람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울이 있었습니다.


선행과 구제를 향하고 있습니다.


복음의 그와 같은 원심축과 구심축 사이에는 큰 동선이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선행과 구제였습니다. 초대교회의 기치 자체가 코이노니아(나눔)였으며 바나바도 자기의 모든 자원을 그런 데 내놓은 사람이었으며, 다비다라는 과부 도르가도 선행과 구제에 매진 하던 여성이며, 도르가 이야기 이후 등장하는 고넬료는 이방인이었는지만 같은 덕목의 실천으로 예루살렘 사도와 연결되기에 이릅니다.

이것이 바로 성령이 갖는 방향성의 실체이며 초대교회가 출구를 향해 미로를 헤쳐나갈 수 있는 실타래이기도 했습니다.    


에필로그 | 침묵의 소리.


부하들과 달리 오디세우스가 몸을 묶고 귀를 막았던 것은 소리를 듣기 위해서 입니다. 이성이 부족한 자는 귀만 틀어막으면, 틀어막았다는 그 믿음 하나로 삶이 속개되는지 모르겠지만 이성을 지닌 오디세우스는 소리를 들어야만 했고, 그리고 그것에 격동하지 않기 위해서는 몸을 묶어둘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sirens-smartermeters.blogspot.com
traumwerk.stanford.edu
www.geometricvisions.com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