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 기독교'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3.05.30 왜 소망 너머에 희망이 있는가 1
  2. 2012.09.27 영화 <밀양>의 나르시시즘
말씀 속에서2013. 5. 30. 07:48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프롤로그 | 소망 Vs. 희망.


소망(所望)과 희망(希望)은 다른 말일까? 국내 개신교에서는 희망이라는 말 보다는 소망이라는 말이 더 익숙하다. 공동체에서의 사용 빈도수도 그렇지만 성서번역에도 그러하다. 신약성서 기준으로 개역한글에서 48회 정도가 소망으로 번역되는 동안 희망은 단 한 번 쓰였고, 표준새번역에서는 소망이 45회 희망이 13회 채택되었다. 그리고 새번역의 소망은 45회이고 희망은 14회다. 공동번역만이 59회 모두 희망이라고 번역했고 소망은 단 한 건도 채택하지 않았다. (개역개정은 개역한글과 같다.) 


참고로 히틀러 치하의 유대인들을 도왔던 래지스탕스 출신 자끄엘륄은 소망과 희망을 구분해서 쓰는 학자다. 에스뻬랑스(espérance)와 에스쁘아(espoir)가 그것이다. 그는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기대에 espérance를, 그리고 무의미한 현대인들의 기대를 espoir로 구별하는데, 그의 책을 번역하면서 관련 학회는 역시 긍정적 전자의 기대감을 ‘소망’으로, 후자는 ‘희망’으로 구별해 번역한 듯하다(c.f. 한국자끄엘륄협회 주).


아마도 그것은 한자로만 볼 때 앞의 ‘소(망)’는 공간적 목표점을 가르키는 뉘앙스가 강하지만 ‘희(망)’는 공간적 지형을 배제한 유토피아 뉘앙스가 강한 낱말로 판단해서인 것같다. 그러나 유토피아 utopia는 분명 “장소”(τοπος)라는 말에 “없다(ου)”라는 부정 접두가 붙은 말로서 실제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뜻하기에 “도달할 수 없는” 허구를 가르키는 현대적 허구와 부합할 수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그곳에 도달할 수 있다는 강한 의지로 반영될 때 기대에 대한 강도는 전자보다 더 증가될 수 있다 하겠다. 즉 에스빼랑스가 되는 셈이다.


프린서플 | 왜 소망 너머에 희망이 있는가.


고대 희랍인들은 인간이 지닌 기대감의 종류를 ‘욕구’, ‘욕망’, ‘갈망’ 그리고 ‘희망’ 순으로 열거했다. 욕구(όρεξης)는 appetite(배고픔)이다. 갈망(επιθυμία, desire)은 wish 같은 것을 말한다. 그리고 욕망(θυμός)은 anger(분노)와 동의어다. 분노가 욕망인가? 분노는 욕망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유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희망(βούλησης)이다. “will”, “의지”, “뜻”을 이르는 말이다. 나머지 셋은 모두 처음 것인 욕구를 가장 밑에 깔고 있다. 희망 역시 욕구의 일종인 셈이다. 하나의 공이 다른 공을 쳐내듯이 무절제한 경우 하나의 욕구는 다른 욕구를 넘어서는 차원에서의 희망이다.


그러나 희랍인들의 언어를 사용했던 신약성서 저자들은 이와 같이 ‘내다보고’ ‘기대하는’ 감정과 행위를 표현할 때, 이상 모든 낱말들과는 별개의 엘피스(ελπίς)라는 말을 채택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본문(롬 5:1-5)에서 희망을 산출하고 있는 방법을 묵상할 때 이해될 수 있다.  

환란은 인내를 산출한다.


초대교회의 환란은 물리적 박해에서 비롯되었다. 물리적 박해를 받는다고 정신이 편안한 것은 아니다. 물리적 고통은 당연히 정신적 고통도 수반한다. 그러나 정신적 고통은 그 물리적 환란이 두 번, 세 번... 계속되는 ‘반복’ 속에서 물리적 고통을 압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신이 처한 상태를 ‘인내’와동일 상태로 보는 것이다. 이로써 물리적 환란이 정신적 환란을, 정신적 환란이 인내를 산출한다.


인내는 연단을.


정신적 환란에서 산출된 인내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은 시간이다. 인내가 시간을 상실했을 때 그것은 굳는다. 다시 물리적 상태 즉, 인내가 견고함(steadfastness)이라는 말과 동의어가 되는 이유다. 이로써 최초의 환란은 연단이라는 제과정으로 완전히 탈바꿈 되어 이제는 새로운 것을 바라볼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그래서 인내라는 말은 ‘증거’라는 말도 되는 것이며(고후 2:9), 연단이라는 말은 ‘체험’이라는 말로도 치환되는 것이다. 왜? 체험이 증거이고 증거가 체험이니까.


연단은 희망을.


소망, 희망에서 ‘소’와 ‘희’는 다르지만 ‘망’은 같다. ‘망’은 亡과 月과 王이 합쳐 된 말이다. ‘망함’과 ‘달’과 ‘왕’. 이 한자어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달’일 것이다. 주기적으로 새롭게 되는 달의 ‘새로움’은 유서 깊은 관조이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달아나 버릴지라도 언제나 새로음이 싹트고 있는 것이다. 


에필로그 | 희망의 내용.


아이러니하게도 성서 저자가 채택한 엘피스(ελπίς)라는 단어는 좋은 것(good)뿐 아니라 나쁜 것(evil)에 대한 기대감이라는 뜻을 함께 갖고 있다. 왜 나쁜 것에 대한 기대감일까? 그리고 또 왜 그런 어정쩡한 단어를 채택했을까? 예컨대 엘피스는 호기심으로 상자를 연 판도라가 슬픔, 질병, 싸움, 고뇌 등 온갖 나쁜 것들이 튀어 나오는 바람에 절망의 늪에 빠져있을 때 가장 마지막으로 뒤늦게 올라온 것, 바로 그것이다. 그때 엘피스라는 단어를 썼다. Hope의 또 다른 희랍어인 블레세스(βούλησης)의 경우는 가장 밑바닥에 욕구를 깔고 있지만 엘피스는 그 자신이 가장 밑에, 가장 마지막 순서로 깔려있다. 엘피스는 언제나 그러하다. 누구에게나 미래는 판도라다. ‘pan’은 ‘모든’이며, ‘dora’는 ‘선물’이다. 모든 선물. 슬픔, 질병, 싸움, 고뇌, 우리는 고를 수 없다. 다만 가장 마지막에 엘피스가 깔려 있다.


그래서 환란, 인내, 연단, 희망 순인 것이다. 이것이 엘피스라는 희망이 두려움이라는 의미를 갖는 이유이며, 신약성서 저자가 엘피스를 채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아울러 본문 v.5에서는 그 희망의 궁극적 내용을 말하고 있다. 바로 “성령으로 사랑을 부어주셨다”는 내용이다. 다른 말로 하면 사랑이 곧 엘피스인 것이다. 


* 그런 점에서 믿음, 소망, 사랑 중에 사랑이 제일 이라는 말을 믿음과 소망 보다 나은 것이 사랑이라는 말로 이해하는 것은 넌센스다. 가장 마지막 것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미지 참조:

www.historyforkids.org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
상상 속에서2012. 9. 27. 00:07

저장소를 이동했습니다.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유물론과 유심론(唯心論)을 강의하기 위해 영화 밀양(密陽)을 학생들에게 소개했다. 

이 영화의 중심축이 용서에 관한 피상적 이해와 비판인 것은 맞지만, 그 피상성(superficiality)은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가해자 보다 피해자인 신애(전도연)에게 더 노출되어 있는 것이 보였다.


#1_ 그녀는 극한의 고통을 통해 하나님을 만난 후 용서를 실천한다. 하나님을 만났다고는 하지만 자식 잃은 사람으로서 그리 할 수가 없는 것인데도 그녀는 아들 죽인 살인자를 찾아간다. 용서하러.


#2_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전해주러 왔어요.” “나도 전에는 몰랐어요.”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도 안믿었어요.” “안보이니까 안믿었죠.” “우리 준이 때문에 하나님 사랑을 알고 새 생명을 얻었어요.” “...얼마나 감사한지 몰라요. 하나님 사랑을 전하러 왔어요.”


#3_ 그녀가 쏟아내는 이런 꽃말들은 일종의 ‘준비되고 학습된’ 대사이다. 게다가 자기 아들 살인자에게 그 꽃말들과 함께 전하기 위해 들꽃까지 꺾어 온 것을 볼 때 그녀는 반드시 둘 중에 하나다. 정말로 그녀가 하나님을 만나 극락에 출입하고 있거나 아니면 거짓말 하고 있거나.


#4_ 그녀가 감행하는 용서의 목적은 자신의 새로운 삶을 위한 것이다. 그 비현실적인 용서의 언어들과 거기에 보태어진 들꽃이 그녀가 지닌 철저한 자기애를 반영한다. 그 자기애적 이상이 그 대사들을 창조하고 학습시킨 것이다. 그러니까 그녀는 한마디로 나르시시스트다.


#5_ 그녀의 자기애적 새 삶에 대한 몽환은 그것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영화 전반부에서 포착된다.


#6_ “왜 밀양에 왔는가”라는 물음에, 남편이 당한 불의의 사고를 설명하고는 “죽은 남편의 꿈이었던 밀양으로의 귀향을 통해 새 삶을 일구러 왔노라”고 말하는 대목에서 일찍부터 그 피상성을 눈치 챘어야 했다. 왜냐하면, 그녀의 남편은 그녀에게 그런 이상을 제공할만한 존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외도와 불륜으로 도리어 그녀의 이상을 파괴한 인물이었다. 


#7_ 이것이 그녀가 지니고 있는 꿈의 실체인 동시에 그가 구현해내고자 했던 용서의 피상성이다.


#8_ 영화의 초반부에 밀양 토박이(송강호)에게 “밀양”의 뜻 말(은밀한 볕)을 일러주면서 “멋있지 않나요-” 하며 나른한 느낌을 만끽하는 표정은 그야말로 나르시시즘을 전조하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9_ 그러므로 이후 그녀의 반신론적 실천들은 살인자의 뻔뻔스런 속죄와 구원에 대한 응답이라기보다는 그녀가 구축하려던 이상적 새 삶의 초석이 되고 있는 그 나르시시스틱한 용서를 선점 당해 빼앗긴데 대한 분노와 보복인 셈이다.


#10_ 그러므로 그동안 기독교 안팎에서 비판하고 자성했던 그 살인자가 지녔던 용서받은 자로서 초연한 자태는 무엇이라 딱히 규정하기는 사실 어렵다. 불안정한 그녀의 눈에 비쳐진 기독교 일면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만, 나르시시스트였던 그녀가 그리스도교로 귀의하려다가 아예 <유물론>과 교섭을 이루어 급선회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살인자가 보여준 확신에 찬 용서는 차라리 <유심론>에 가깝다 하겠다. 그도 그럴 것이 자신의 갇힌 육체를 통해서 상상하기 가장 쉬운 천국은 육체를 완벽하게 배제한 유심론적 구원 밖에 달리 없지 않았겠는가.


#11_ 한편 그 모든 물질적 실체를 부인하는 이 유심론적 용서에 맞서기 위해 내밀 수 있는 카드란 역시 유물론적 용서 밖에 달리 없었을 것이다. 이 영화가 유물론에 종사하는 한 맥락이다. 그래서 유독 이 영화의 여주인공 신애는 구토를 많이 한다. 정신이 아닌 물질이라는 것이다.


#12_ 그녀는 마지막을 거울로 마치려 한다. 미용실에서 그 살인자의 딸에게 머리칼을 맡겼다가 이내 거부하고 집으로 돌아와서는 자기 혼자만의 거울 앞에 다시 앉는다. 그리고는 자기 스스로 머리칼을 자른다. 나르시시스트들의 종착지인 것이다. 


#13_ 이 영화의 감독이 칸에 가서 “우리가 살아야 할 의미는 하늘이 아니라 두발을 딛고 서 있는 땅에 있다는 걸 말하고 싶었다”고 인터뷰했다는 소리를 들었다. 그래서인지 영화가 (빛을 담은) 창공의 하늘로 시작해서 (빛을 담은) 땅바닥의 더러운 개숫물로 마치는 구도에 그토록 많은 해석들이 있었던 것같다.


#14_ 그의 말대로 하늘이 아닌 땅에 역점을 두고 만들어졌는지는 모르겠으나 이 영화 자신이 지니고 있는 해석학적 기도는 시종일관 나르시시즘에 더 종사한다. 주인공을 누구도 뭐라 할 수 없는 고통의 궁지에 몰린 절대 약자로 산출해내는 것도 나르시시스트의 전통적 자기애 형식이다. 하나님의 장로를 유혹하여 배 위에 올려놓고는 그 하늘을 향해 눈을 가늘게 뜨고는 “보고 있느냐”며 나직이 그렇지만 비장하게 쏘아붙이는 프레임은 영락없는 <To Die for> 니콜 키드먼의 나르시시즘이다. 


#15_ 나르시시트를 주인공으로 상정하는 바람에 이 영화가 꾀하려 했던 종교적 경계가 무너지고 만 것이다. 세상엔 실제로 기독교와 반기독교가 있는 것이 아니다. 윗물(창공)과 아랫물(개숫물), 그리고 그 사이에 빛들, 또 그리고 여러 가지 나르시시스트들이 있을 따름이다.


#16_ 왜냐하면 인간은 누구나 신이 없다고 생각한 적이 단 한번도 없기 때문이다. 단지 거울을 가지고서 조절을 할 뿐. 


#17_ 그렇지 아니한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개별 복합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Pentalogia